APRIL 2025

월별 카테고리
2022.08.10 |

ESG is…

EㆍSㆍG 각 분야와 밀접한 화두를 중심으로 ESG에 대한 이해를 넓혀갑니다. 환경ㆍ사회ㆍ지배구조의 건강한 가치를 생각합니다.

대표적 무형자산, 인적자본 가치

기업은 물적자본과 인적자본(Human Capital)으로 구성됩니다. 애덤 스미스가 국부론에서도 언급한 인적자본은 임직원의 교육ㆍ기술ㆍ재능ㆍ능력 등을 의미합니다. 국제 신용평가 기관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가 밝힌 500대 기업의 무형자산 비중(2020년 기준)은 90%로 특허ㆍ저작권, 지식재산권, 영업권, 브랜드, 상표ᆞ연구개발(R&D) 등이 해당합니다. 이는 모두 인적자본과 관련됩니다. 인적자본은 대표적인 무형자산으로서 기업의 전체 가치에서 큰 부분을 차지합니다.

글로벌 인사 컨설팅사 머서(Mercer)가 제시한 지속가능 비즈니스 로드맵(Roadmap to a sustainable business)은 기업 소속원의 근무와 ESG의 상관성을 보여줍니다. 임직원이 조직의 문화(Culture)ㆍ전략(Strategy)ㆍ리더십과 인사 관행(Leadership & HR Practices)을 통해 조직의 목적(Purpose)에 어떻게 부합하는지를 드러냅니다. 이를 통해 임직원은 일상 근무를 하면서 지속해서 환경(E)과 함께 사회적 책임(S)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인적자본의 중요성

ESG 경영에서 인적자본이 중요한 이유로 세 가지로 정리됩니다.

첫째, 영향력 있는 투자자는 인적자본이 기업가치의 핵심 요소임을 인식하고 투자 시 우선순위로 고려합니다. 기업의 인적자본을 분석하려는 자본시장의 요구가 지속해서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수요에 대응해 많은 기업은 인적자본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하고 공시하기 위한 조치를 취하기 시작했습니다.

둘째, 투자자와 주요 이해관계자는 기업이 인적자본과 연관된 관리에 우선순위를 정하도록 목소리를 냅니다. 주주 제안은 인적자본을 둘러싼 이슈를 식별해 이를 논점으로 삼고 있으며, 인적자본 관리에 대한 임직원 사이의 관심도 고조되고 있습니다.

셋째, 성별, 소수자 등에 대한 차별에 반대하는 시위를 비롯해 다양하게 불거지는 사회적 요구와 함께 코로나19 대유행은 기존 관행에 대한 반성을 요구합니다. 특히 전염병을 계기로 근로자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업무 환경이 집중 조명되고 있습니다.

ESG경영에서 사회적 책임(S)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면서 인적자본 관련 리스크 관리가 중요해지고 있다. 인적자본은 투자자에게 우선순위로 고려되며 인적자본 관리에 대한 자본시장의 요구가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출처: 셔터스톡>

인적자본 표준과 ESG

지속가능성회계기준위원회(SASB)는 세계 최대 자산운용사 블랙록(BlackRock)과 스테이트스트리트(State Street)의 지지에 따라 인적자본 관리에 대한 선도적인 표준을 도입했습니다. SASB 표준은 다음 세 가지 ① 직원 건강ㆍ안전, ② 직원 다양성ㆍ포용ㆍ참여, ③ 노동 관행 식별을 인적자원 고려 사항으로 제안합니다. 최근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는 인적자본 고려 사항을 포함한 ESG 공시 프레임워크를 개발해 규정 개정 등을 통해 구현하려 합니다. 제안된 개정안에 대해 수천 건의 의견 수렴 뒤 2020년 8월 SEC의 수정 규정이 채택됐습니다. 수정된 규정은 원칙 기반 접근 방식을 취하는 가운데 특정 인적자본을 정의하고 있습니다.

인적자본 관리의 정방향

기업들은 투자자의 단기적 요구와 기업 존재 이유인 장기적 가치(Value) 창출을 동시에 고려함으로써 효과적인 인적자본 관리를 모색합니다. 이사회의 투명한 감독을 통해 인적자본의 바람직한 성장 방향을 설정하고 직원 삶을 위한 다양한 정책의 보장ㆍ운영ㆍ유지에 집중해 ESG 가치에 다가설 수 있습니다. 우수 리더십을 위한 명확한 표준을 명시하거나 임직원에 대한 공정한 교육 체계를 마련하는 등의 노력도 긴요합니다.

무엇보다 인적자본이 기업의 ESG 가치 추구에 기여하는 방향으로 표출되려면 의사결정 과정에 적용될 수 있는 판단 근거로써 임직원 이익을 효과적으로 표현하는 것이 유의미합니다. 투자자와 이해관계자의 정보공개 요구에 대응하기 위해 인적자본에 관한 중앙 집중식 정보 공개 체제를 구축하는 선도적인 사례들을 참고할 만합니다.


참고 · 내셔널리뷰 [ESG: How it Applies to the Oil & Gas Industry and Why It Matters]ㆍ2021.9
          오션토모 [무형 자산 시장 가치(IAMV) 연구]ㆍ2020
          하버드 로스쿨 기업지배구조 포럼 [Introduction to ESG]ㆍ2020.8
          머서 www.mercer.com.hk
          옥시덴털 페트롤리움 [기후변화 보고서]ㆍ2021
          로열더치셸 피엘씨 [지속 가능성 보고서]ㆍ2021
          엑손모빌 [지속 가능성 보고서 요약본]ㆍ2021
          브리티시페트롤리엄 [지속 가능성 보고서]ㆍ2021
          킨더모건 [ESG 보고서]ㆍ2021

[지난 이야기] 이야기의 다른 글
[ESG is...] 이야기 공유하기

에디터

박종철
한국지속경영연구원장으로 재직하며 ESG 경영 교육을 수행하고 있다. 미국 뉴욕주 변호사로서 금융권에서 30여 년간 활동했다. 경희대학교 법무대학원에서 ’ESG 경영과 법’을 강의하면서 대신경제연구소 자문위원, 신용보증재단중앙회 ESG경영위원으로 활동 중이다. 공저로 'ESG 경영과 법률', 'ESG 레볼루션' 등이 있다.
NEWSLETTER

365일, S-OIL이 친근한
이야기를 전해드릴게요!

TOP